항고혈압약 (antihypertensive drug) -
1. 고혈압의 정의
수축기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 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본다
2. 항고혈압약
높은 혈압을 정상적 수준으로 만들어 뇌혈관장애, 심부전, 신부전 등의 치명적인 심혈관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있다.
3. 항고혈압약의 사용원칙
1) 목표 혈압
(1) 치료 시작시 수축기혈압 140mmHg 미만, 이완기혈압 90 mmHg 미만으로 한다.
치료에 잘 적응하면 130/80 mmHg 미만으로 조절한다.
(2) 심뇌혈관 고위험군이거나 심혈관질환이나 만성신부전이 동반된 고혈압 등은 130/80 mmHg 미만으로 조절한다.
(3) 70세 이상 노인 고혈압의 경우 140/80 mmHg 미만을 목표한다.
2) 처음 투여할 때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저용량으로 시작한다.
3) 약효가 24시간 지속되는 1일 1회 복용하는 약을 선택한다. 만약 하루 1회로 조절이 안되면 2회로 분할해서 복용할 수 있다.
4) 일차 항고혈압약은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 안지오텐신차단제(ARB),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이뇨제 중에서 선택하며(부작용 때문에 중추성교감신경차단제, 혈관확장제 일차치료제로 사용하지 않음)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동반질환에 따라 선택한다.
5) 항고혈압약의 병용
(1) 효과는 있지만 목표하는 혈압에 도달하지 못하면 용량을 증가나 다른 기전의 약을 추가한다. 그러나 용량의 증가보다 서로 작용이 다른 기전의 약을 추가하면 강압 효과와 치료 지속성을 높이고 부작용은 줄일 수 있다.
(2) 혈압이 160/100 mmHg 이상 이거나 목표 혈압보다 +20/+10 mmHg 이상 높은 경우, 처음부터 고혈압약을 병용 투여할 수 있다.
(3) 레닌-안지오텐신계 억제제, 칼슘차단제, 이뇨제 중에서 두 가지 약을 병용하여 투여하면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인다.
(4) 베타차단제와 이뇨제의 병용사용 시 당뇨병 및 대사적 장애 등의 발생위험이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5) 안지오텐신차단제(ARB)와 ACE억제제의 병용하면 단백뇨 감소에 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심뇌혈관질환 발생이 오히려 더 증가하므로 병용은 피한다.
6) 저항성 고혈압
다른 기전의 혈압약을 3가지 이상 병용 투여하고 최적 용량으로 투여하여도 혈압이 140/90 mmHg 미만으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런 경우 이뇨제 용량을 증량하거나, 신장기능이 저하된 상태라면 티아지드 유사 이뇨제 대신 루프이뇨제를 사용한다.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spironolactone, amiloride 또는 doxazosin을 추가로 처방할 수 있다.
3. 항고혈압약의 종류
1) 혈관확장제
2) 교감신경차단제
3) Angiotensin 전환효소 억제제 (ACEI)
4) Angiotensin II 수용체 길항제 (ARB)
5) 이뇨제
1) 혈관확장제 Vasodilators
- 고혈압에 사용되는 모든 혈관확장제는 혈관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저항을 감소시켜 혈압을 저하시킨다.
- 반사성 빈맥이 발생하기 쉽다.
- 심혈관반응을 억제하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함께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 혈관확장제로는 Hydralazine, Diazoxide, Minoxidil, Sodium Nitroprusside 등이 있다.
(1) 하이드랄라진 Hydralazine
- 말초세동맥의 혈관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저하시킨다.
- 혈관 내피세표에서 산화질소(NO)의 방출을 촉진시켜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저하시킨다.
- 혈관 내에서 Ca의 흡수를 억제하여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춘다.
- 정맥에 대한 작용은 약하다.
- 본태성고혈압 및 임신 중독증에 의한 고혈압에 사용된다.
-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β차단제 및 이뇨약을 병용하여 사용한다.
가. 흡수 및 배설
- 경구 투여 후 장관으로부터 흡수가 잘되나 생체 내 이용률은 낮다. 반감기는 1.5~3시간이다.
나. 부작용
- 체액저류, 빈맥, 피부홍조, 두통, 심근 허혈, 심부전 등이 나타난다. 장기 대량 투여로 드물게 루푸스가 나타날 수 있다.
다. 종류
- Hydralazine hydrochloride (Apresoline): 일반적인 용량은 40~200mg/day이다. 10~15mg씩 1일 4회 경구투여하거나, 주사제(20mg/ml)를 투여한다.
(2) 디아족사이드 Diazoxide
- 칼륨이온채널(ATP-sensitive K' channel)을 활성화하여 동맥평활근세포를 과분극화하면 혈관평활근이 이완된다.
- 정맥에는 효과가 약하다.
- 정맥 주입 시 세동맥의 확장으로 혈압이 신속하게 저하하며 심박수,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 반사작용으로 교감신경계의 흥분, 항이뇨, 혈당상승, 뇨산배설억제, 혈장레닌(renin) 활성을 증가시킨다.
- 과거에는 응급상황에서 혈압을 낮추는 데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과인슐린증으로 인한 저혈당 치료에 사용된다.
가. 흡수 및 배설
- 경구 복용 시 흡수가 좋으며 정맥 주입은 심한 고혈압 치료에 사용한다. 신장으로 20~50%가 배설되며 나머지는 간에서 대사 된다. 반감기는 20~60시간이며 지속시간은 4~20시간이다.
나. 부작용
- 수분 및 염류의 저류와 혈당의 상승이 나타난다.
다. 종류
- Diazoxide(Hyperstat): 75~300mg를 1일 2회 경구투여한다. 정맥주입은 20ml(300mg)이 있으며 신속하게 주입한다.
혈압을 2분 내에 최저로 낮추고 30분 동안 증가시킨 후 2~12시간 동안은 서서히 증가하게 한다.
(3) 미녹시딜 Minoxidil
- 간에서 대사 되어 생성된 minoxidil sulfate가 세포막에서 K+의 투과성을 증가하여 과분극을 일으켜 혈관을 이완시킨다.
- 세동맥에 작용하며 Hydralazine 보다 효력이 크고 장시간 작용한다.
- 반사작용으로 심박수, 심박출량의 증가한다
- 중증고혈압의 치료 시 다른 약이 효과가 없을 때 이뇨약과 β차단약을 병용하면 효과가 있다.
- 만성 신부전이 있는 고혈압환자에 효과적이다.
가. 흡수 및 배설
- 경구로 흡수가 잘 되며 1시간 후에 최고혈중농도에 달한다. 반감기는 3~4시간이며 지속시간은 24 시간이다.
나. 부작용
- 수분 및 염류의 저류 (loop이뇨제와 병용으로 조절가능) , 반사성으로 교감신경이 흥분하여 심근수축력을 증가(β차단약으로 조절), 다모증, 심낭삼출 등이 있다.
다. 종류
- Minoxidil(Loniten): 처음에는 1일 5mg을 경구투여한 후 점차로 복용량을 증가시켜 1일 40mg을 분할 경구투여 한다.
(4) 니트로푸르사이드 나트륨 Sodium Nitroprusside
- NO를 유리하여 구아닐고리화효소(guanylate cyclase)를 활성화하며 평활근에 대해서 강력한 혈관확장작용을 나타낸다. 다른 혈관확장약과 달리 세동맥과 정맥평활근을 이완시키며 정맥혈관확장 때문에 심장전부하를 감소시킨다.
- 심부전이 없는 경우 심박출량은 저하되나 심부전으로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있을 때는 이를 증가시킨다.
- 일어나 있는 상태에서 투여하면 빈맥과 심한 체위성저혈압을 일으킨다.
- 효과가 빠르고 높기 때문에 혈압의 연속적 감시와 주입속도의 조절이 필요하다.
가. 흡수 및 배설
- 30초 내에 작용이 나타나며 최고혈압 강화효과는 2분 내에 나타난다.
- 투여중지 1~10분 내에 효과가 소실한다.
- 주성분 및 대사물은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된다.
나. 부작용
- 1시간 이내 고용량 주입이 지속되면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
과도의 혈압강하로 인해 오심, 구토, 발열, 불안, 두통, 방향감각상실 등이 나타난다.
-최종산물인 SCN- 은 혈중에 10mg/dl이상이 되면 탈력, 저산소증, 오심, 이명, 근연축, 정신증상이 나타난다.
다. 용량 및 용법
- 일반적으로 0.5 mcg/kg/min에서 시작하여 혈압 조절을 위해 필요에 따라 10 mcg/kg/min까지 증가할 수 있다.
- 급속하게 혈압을 저하시킬 때 또는 수술 시의 출혈방지를 위한 저혈압이 필요할 때 50mg을 5%glucose 500L에 섞어 3μg/kg/min 속도로 점적한다.
2) 교감신경 차단약
교감 신경계를 억제하여 혈압을 낮춘다. 교감 신경계 기능을 변화시키는 모든 약물은 나트륨 보유 및 혈액량 증가로 인한 보상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뇨제와 함께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2-1) 중추성교감신경차단약 Centrally Acting Sympatholytic Drugs
- 뇌에 작용하여 혈관에 대한 교감신경흥분을 억제한다.
- α-methyldopa와 clonidine 등이 있는데 현재 클로니딘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 클로니딘 (Clonidine)
- 중추신경계의 뇌간의 α2-수용체를 홍분시켜서 혈압을 하강시킨다.
- 심박출량의 감소와 말초저항의 감소로 동맥압을 저하된다.
- 경증 및 중등도의 본태성 및 신성 등 각종고혈압에 혈압강하약으로 이뇨약 또는 혈관 확장약과 병용하여 장기요법에 사용한다.
가. 흡수 및 배설
- 경구투여로 흡수가 잘 되고 2 ~ 4 시간 후에.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한다. 지속시간이 12시간으로 길다. 투여량의 50%가 대사 되어 신장으로 배설된다.
나. 부작용
- 구갈, 변비 및 금단현상으로 불안, 빈맥 및 혈압상승을 초래한다.
- 과량 복용 시 심각한 고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 항우울제와 함께 병용할 경우 항고혈압 효과가 차단될 수 있다.
다. 종류
염산 클로니딘 Clonidine hydrochloridel (Catapres): 초회 0.1 ㎎ 을 1 일 2~6회 경구투여하고 0.2~0.8mg을 매일 유지량으로 투여한다. 이뇨제와 병용 시 더 효과적이고 직립 시 강하작용이 강력하다. 금단현상은 1일 1.2 mg 이상의 고용량 투여 시 종종 일어난다.
2-2) 아드레날린성 신경차단제 Adrenergic neuronal blocking drugs
- 교감신경 말초 신경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정상적인 생리학적 방출을 방지함으로써 혈압을 추는 기능을 한다.
- 종류로는 Guanethidine, Reserpine 등이 있으며 현재 부작용 때문에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2-3) 알파 아드레날린성 차단제 Alpha adrenergic(α1) blocking drugs
- 혈관에 있는 α1-adrenaline 수용체를 차단하여 혈관을 확장시킨다. 혈관의 확장으로 말초혈관 저항을 감소하여 혈압이 하강한다.
- 특이적 a1-차단작용 때문에 반사성빈맥을 일으키지 않는다.
- 지방이나 당대사에 영향이 없어 고지혈증이나 당뇨가 있는 경우 사용된다.
- 이 약물을 사용 시 염분과 수분의 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단독사용하기보다 이뇨제와 β 차단제를 병용하면 효과적이다.
- 전신 동맥과 정맥상을 이완시키고 심장에 대하여 전부하 및 후부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심부전 중 치료에 쓴다.
가. 흡수 및 배설
경구투여 후 1 ~ 3 시간내에 최고혈중농도에 도달하고 반감기는 약 4 시간 정도이다. 불활성 대사산물로 변하여 담즙으로 배설된다.
나. 부작용
첫 투여후 1시간 이내 실신할 수 있다. 졸음, 저혈압, 무력증, 두통, 체위성 저혈압 등이 있다.
다. 종류
- 염산프라조신 (Prazosin hydrochloride (Minipress)): 초회량 1mg 정을 1일 2~3회 경구투여한다.
- 테라조신(Terazosin (hytrin)): 1일 1회, 5-20mg의 용량을 투여한다.
- 독사조신 (doxazosin (Cardura)) 1일 1회, 1mg에서 시작하여 필요에 따라 4mg 또는 그 이상 증량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 그 외 : 케탄세린(ketanserin), 우라피딜(urapidil) 등
2-4) 베타 아드레날린성 차단제 Beta(β) adrenergic blocking drugs
- 심장의 베타 수용체를 차단하여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 이뇨제와 병용 시 효과적이고 다른 혈압강하제와 비교하여 부작용이 훨씬 적다.
- 협심증, 심박수 조절, 심근 경색 후, 좌심실 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환자의 고혈압 치료에 유용하다.
- 임신을 계획 중인 젊은 여성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가. 흡수 및 배설
- 장에서 흡수가 잘되고 경구투여된 50 ~ 60 % 는 간에서 대사 된다.
- 중요한 대사물질은 4-ydroxypropranolol로 활성이 있으나 propranolol 보다 짧은 반감기(4~6 시간) 짧은 반감기를 갖고 있다.
나. 부작용
기립성저혈압을 일으키지 않으나 피로, 서맥, 설사, 울혈성심부전 및 천식, 발적, 심계항진, 등이 발생한다. 혈당 및 지질대사장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 당뇨병 환자,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투여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다. 종류
- 프로프란노롤 Propranolol (Inderal ): 보통 초회 80mg을 분복시키고 160 ~ 480mg을 매일 유지량으로 투여한다.
- 메타프로롤 Metoprolol: 선택적으로 B1 - 수용체를 차단한다. 반감기는 3~6시간이다.
- 나돌롤 Nadolol ( Corgard ): 반감기가 12 시간으로 서서히 배설된다. 1일 1회 사용한다.
2-5) 알파,베타 아드레날린성 차단제 α, β-adrenergic blocking agents
- α1- adrenaline 수용체의 차단 및 B수용체의 차단작용으로 혈관 저항을 감소시켜 동맥압을 저하시킨다. 응급고혈압시 정맥주입으로 혈압을 신속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가. 부작용
저혈당, 부정맥, 서맥, 심장전도장애, 호흡곤란, 발작, 가려움 등이 있다.
나. 종류
-라베타롤(Labetalol) : 1일 200~2400mg을 경구투여한다. 고혈압위기에 20~80mg 정맥으로 반복투여한다.
3)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ACEI)
-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를 억제하여 안지오텐신 I이 안지오텐신 II로 변환되는 것을 차단한다. 안지오텐신 II의 감소하면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이 낮아진다.
- AngiotensinII의 감소로 이뇨약의 효과가 증진된다. 단, 소량의 이뇨약은 Angiotensin II 전환효소억제제의 항고혈압효과를 증가시키지만 다량의 이뇨약과 병용 시 혈압을 과도하게 저하시켜 Na의 소실을 초래한다.
- 심장부담을 줄여주어 좌심실성비대증이 있는 고혈압환자에게 우선 사용한다. 말초혈관질환, 악성고혈압, 지속성고혈압에 사용가능하다.
- 태아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임신 시 사용하지 않는다.
- 인슐린감수성을 증가시켜 당뇨병환자에게 적합하다.
가. 부작용
혈관부종과 마른기침 등의 부작용이 있다. 그러나 투약을 중단하면 수일 내지 수주일 내에 소실된다.
기타 부작용으로는 이상미각, 백혈구감소증, 발진 등이 있다.
나. 종류
- 캡토프릴 (Captopril (Capoten)): 다른 제제와 병용하여 사용한다. 1일 3회 25~150mg을 경구투여한다.
- 기타: 리시노프릴(lisinopril), 라미프릴(lamipril) 등
4)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ARB)
- Angiotensin II가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체중의 하나가 Angiotensin Type1 ( AT1 )로 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혈압 상승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ARB는 평활근을 이완하여 혈관 이완 증가 및 수분 배설을 촉진하여 혈장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가. 부작용
-현기증과 두통이 있다.
나. 종류
- 로사르탄(Losartan): 경구투여하며 1일 50 mg을 반복사용한다. 혈압 강화효과는 3 ~ 6 주에 나타난다. 단독사용이나 hydrochlorothiazidest 병용하여 사용한다
- 발사르탄(Valsartan), 칸데사르탄(Candesartan) 등
** ACEI와 ARB 주의사항
-치료 초기에는 혈중 K과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금기: 임부, 고칼륨혈증, 양측성 콩팥동맥 협착증
5) 이뇨제
- 신장에서 체내의 여분의 수분과 Na을 배출하여 혈액량을 감소시켜 혈압이 낮추는 작용을 한다.
- 처음 이뇨제를 사용시 혈액량이 감소로 인한 보상기전으로 혈관의 수축 및 말초혈관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 시 지속적인 Na감소로 혈관의 경직성을 감소시켜 말초혈관저항이 줄어든다.
- 저항성 고혈압 치료를 위해 spironolactone과 같은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를 고려한다.
- 비만이거나 당뇨병 고위험군인 경우, 베타차단제와 병용하지 않는다.
- 심부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통풍에는 금기이다.
가. 부작용
가장 흔한 부작용은 칼륨 고갈로 인한 저칼륨혈증이다. 디기탈리스를 복용 중이거나 만성 부정맥, 급성 심근경색, 좌심실 기능 부전이 있는 경우 저칼륨혈증이 위험할 수 있다. 그 외 저마그네슘혈증, 저나트륨혈증, 포도당불내성, 고요산혈증, 부정맥, 지질 대사장애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지만 저용량에서는 드물다. 칼륨 보존 이뇨제는 특히 신부전 환자와 ACE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나. 종류
A. 티아지드(Thiazide) 이뇨제
- 심박출량감소 및 총말초저항 감소작용이 있다.
: 원위세뇨관에서 Na와 Cl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Na의 배설로 체액량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춘다. 장기간 사용 시 말초혈관저항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 대표적으로 하이드로클로르탈리돈(hydrochlorothiazide), 클로르달리돈(chlorthalidone) 있다. 클로르탈리돈이 작용 시간이 더 길고 효과적이어서 선호되고 있다.
- 사구체 여과율 <45 mL/min인 환자에게는 덜 효과적이며, <30 mL/min 에서는 효과가 없으므로 루프계 이뇨제를 사용한다.
- 티아지드 이뇨제는 더 높은 용량에서 나트륨 배설 효과가 더 크지만, 혈압강하효과는 낮은 용량(25-50 mg)과 유사하다.
- 클로로타리돈 (hlorthalidone (Hygroton)), 퀴네타존 (quinethazone (Hydromox))등이 있다.
- 부작용으로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요산혈증 등이 있을 수 있고 장기간 사용 시 고지혈증이 유발될 수 있다.
B. 루프 이뇨제
- 헨렌고리(Henle's loop) 상행각에서 Na, K, Cl의 재흡수억제로 체액량이 감소되어 혈압이 낮아진다.
- 티아지드계 이뇨제에 비해 작용시간이 짧고 말초혈관 저항의 감소작용이 적다.
신장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혈압 강하효과가 있으나 정상 신장기능 상태에서 효과가 떨어진다.
- 사구체 여과율이 30-40 mL/min 이하인 신부전, 나트륨 보유가 현저한 심부전 또는 간경변에 사용된다.
- 푸로세미드(Furosemide(Lasix)), 에타크린산 (Ethacrynic acid (Edecrin)) 등
C. 알도스테론 수용체 차단제
- 심부전을 동반한 고혈압에 사용되고 있다.
- 스피론올락톤(Spironolactone), 에피렌론(Eplerenone)
D. 칼륨 보존성 이뇨제
- 과도한 칼륨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른 이뇨제의 나트륨 배설 효과를 강화하는 데 유용하다.
- 암일로라이드 (Amiloride), 트리암테넨(Triamterene)
6) 칼슘통로차단제
- 심근 및 혈관평활근세포로의 Ca2+ 유입을 억제하여 심근억제나 혈관확장하는 작용을 하여 혈압을 낮춘다.
- 협심증이나 기타 부정맥, 고혈압의 치료 및 뇌혈류의 개선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 dihydropyridine류와 non-dihydropyridine류로 분류된다.
a. dihydropyridine류(nifedrine nitrendipine, ricardipine 등)
: 체액저류는 일으키지 않으나 말초혈관 이완작용이 강해 반사성빈맥을 일으킨다.
: 말초혈관 질환을 동반한 고혈압에 사용된다.
b. non-dihydropyridine (verapamil, diltiazem 등)
: 말초혈관 이완효과가 적고 심근 수축력의 감소와 방실전도장애가 많다.
: 반사성 빈맥이 없어 심근경색증 후 좌심실기능이 잘 유지되는 상황에서 발생된 고혈압에 사용된다.
: 관상동맥 확장 작용이 있어 협심증에 사용되고 있다.
: 부정맥, 특발성 상심실성 빈맥의 급성 및 장기간 조절에 유효하다.
: Digitalis 혹은 propranolol을 병용해서 사용한다.
: 요단백감소 효과가 있다.
가. 흡수 및 배설
Verapamil, diliazem은 nifedipine보다 간에서 대사율이 높아 생체내 이용률이 낮다.
나. 부작용
- dihydropyridine류는 만성투여 시 혈관확장작용으로 인해 두통, 빈맥, 현기증, 안면발적, 저혈압을 일으킨다.
- non- dihydropyridine류는 변비, 서맥, 방실전도장애. 심수축력 감소 등이 있다. 베타차단제와 병용투여 시 심부전이나 심각한 전도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다. 종류
- Diltiazem hydrochloride ( Candigem, Dilacon ): 30mg을 1일 4회 투여하며 1일 36mg까지 증량한다. 0.2mg/kg을 2분에 걸쳐 정맥 주사한다.
- Nifedipine ( Pnocandia, Adalat ): 10mg을 1일 3회로 시작하고 고용량은 10-20mg을 1일 3회 투여한다.
- Nimodipine ( Nimotop ): 60mg을 4시간마다 21일간 사용한다.
- Verapamil ( Isoptin , Calan ) : 80-120mg을 1일 3회 경구 투여 하며 480mg까지 증량한다. 상심실성 부정맥에 5~10m㎎ 을 2 분에 걸쳐 정맥 주사 하며 , 30 분 후에 반복 투여 한다.
- Amylodipine ( Norvac ): 정제로 1일 5㎎을 사용한다.
- Isradipine ( Dynacine : 2.5 or 5mg 캡슐로 2.5 mg을 1일 2회 투여한다.
'의학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 바이러스(HBV) (0) | 2024.08.02 |
---|---|
Transferrin, TIBC(Total Iron-Binding Capacity), Ferritin (1) | 2024.07.24 |
풍진바이러스검사 Rubella virus lgG, IgM / Rubllea IgG avidity (1) | 2024.07.12 |
CA-125, HE4, ROMA -난소암 관련검사 (0) | 2024.07.05 |
설사 - diarrhea (0) |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