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관련 정보

수혈 전 검사항목 (Anti-body screening , Cross mathing, ABO & RH type)

반응형

수혈 전 시행되는 혈액검사는, 수혈 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호환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시행되며  Anti-body screening , Cross mathing, ABO & RH type 이 시행된다. 

 

1. Anti-body screening test (비예기항체선별검사)+ identification test(동정검사)

1) 비예기항체란 

비예기항체(unexpected antibody)란 예측할 수 없는 항체라는 의미로

ABO 혈액형 이외의 Rh, Duffy, Kidd 및 Kell 등의 혈액형군의 항체를 말한다.

(예기항체(expected antibody) : ABO 혈액형에서 anti-A, anti-B는 혈액 안에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예측 가능한 항체)

Rh 혈액형군에 대한 항원은 D이외에도 E, c, C, e 등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고 있다.

 

2) 비예기항체선별검사의 목적

수혈자의 혈청내에 비예기항체의 존재를 검사하기 위해 시행된다.

이러한 항체는 특정 항원과 결합하여 급성 용혈성 수혈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수혈 전 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예기 항체는 수혈, 임신 등 기타 이유로 인해 외부의 항원이 노출되었을 경우 항체가 형성될 수 있다. 

 

3) 비예기항체 선별검사 방법과 판정

 환자의 혈액과 시약 선별용 적혈구와 반응시키는 검사를 시행한다. 환자의 혈액과 반응시켜 응집이나 용혈이 보이면 양성으로 환자의 혈액에 항원에 대한 해당 항체가 있다고 본다.

 

대부분 2가지 혈구로 구성된 선별용 혈구 panel을 이용한다.

항체 선별용 혈구에 모두 음성을 보인 경우에는 대부분 비예기항체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 항체 역가가 낮거나, 혹은 선별용 혈구에 포함되지 않은 저빈도항원에 대한 항체가 있는 경우에는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2가지 혈구 중  1가지 혈구에서만 양성을 보여도 항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검출된 비예기항체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한 비예기항체 동정검사를 시행한다.

비예기항체 동정검사의 방법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혈액형 항원이 포함된 11가지 혈구로 구성된 동종용 혈구 panel을 이용하여 간접항글로불린법을 시행한다. 

 

*간접항글로불린법이란(indirect antiglobulin test, IAT)) : 환자의 혈액과 선별용 적혈구를 37℃에서 반응시킨 후 항글로불린 시약(anti-human immunoglobulin)을 첨가한다. 항글로불린 시약은 육안으로 응집을 보이지 않는 적혈구에 부착된 비예기항체인 IgG들을 연결시키는 역할로 육안으로 응집을 잘 보여줄 수 있다.

2. Cross mathing(교차시험)

1) 교차시험의 의의

환자의 ABO와 Rh 혈액형과 일치하는 수혈하고자 하는 적혈구제제와 반응시켜서 응집(항원-항체 반응)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만약 응집이나 용혈이 보인다면 검사한 혈액제제의 항원에 대해 환자가 항체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수혈이 부적합하다. 이러한 경우 비예기항체가 존재하므로 비예기항체 선별검사와 동정검사를 실시한다. 

 환자가 3개월 이내 임신이나 적혈구 수혈을 받은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수혈예정일로부터 3일 이내(72시간)의 검체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한다. 

 

교차시험은 ABO혈액형 오류를 찾아내고, 비예기 항체의 검출할 수 있어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수혈을 가능하게 한다. 

 

2) 교차시험 방법 및 판정 -교차시험시 사용되는 시약

Anti-A, Anti-B, Anti-D 혈청 헌혈자와 환자의 혈액 샘플 saline, 22% bovine albumin, 쿰스시약(AHG)

 

환자의 혈청과 헌혈자의 혈구를 사용하는 주교차시험, 헌혈자의 혈청과 환자의 혈구를 사용하는 부교차 시험이 있다.

부교차시험은 임상적 의미가 거의 없어 일반적으로 주교차시험만 시행한다.

 

교차시험 방법

1단계: 실온식염수법(IgM항체를 감지)

환자의 혈청 2방울에 3~5%혈구부유액 2방울을 넣고 섞는다 (saline phase)

원심분리 후 응집 및 용혈을 관찰한다.

 

 2단계: 알부민법(lgG항체를 감지)

22% bovine albumin을 2drop을 첨가하여 37도의 60분간 동안 배양 한다.( or 15~30분 가온배양)

원심분리 후 응집 및 용혈을 관찰한다.

 

3단계 AHG사용(IgG항제를 감지)

혈청을 완전히 따라내고 생리식염수로 3회 세척한다.

마지막 세척후  쿰스시약 1 drop mix후 5분간 실온에 방치한다. 이후 원심분리 후 응집을 관찰한다.

 

판정

Tube를 기울이면서 응집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응집시 수혈이 부적합함을 의미한다. (ABO불일치, 특이항체나 비특이항체의 문제)

 

3.ABO RH type

1) ABO와 Rh 혈액형 검사의 의의

ABO와 Rh 혈액형만을 주로 검사하는 이유는 항원성이 가장 강하기 때문이다. ABO와 RH혈액형에 맞춰 수혈하지 않을 경우 심한 용혈수혈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2) ABO와 Rh 혈액형 검사 방법

 (1) ABO 혈액형 검사

ABO 혈액형 검사는 anti-A와 anti-B 시약을 사용한다. 환자의 혈액에 시약을 떨어뜨려 응집반응을 관찰한다.

혈구형 검사(cell typing, front typing): 적혈구에 표현된 항원이 어떤 시약에서 응집이 확인

혈청형 검사(serum typing, back typing): 적혈구를 제외한 혈청 혹은 혈장에 혈액형을 알고 있는 A와 B 적혈구를 떨어뜨려 응집을 확인

 

대부분 혈구형 검사만으로도 ABO 혈액형 판정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ABO 혈액형 판정을 위하여 혈청형 검사까지 동시에 같이 실시한다.

 

(2) Rh 혈액형 검사

Rh 혈액형군에서 항원성을 강한 D 항원을 검사하는 것으로 RhD 혈액형 검사라고 한다.

혈액에 anit-D 시약을 넣고 적혈구의 D 항원이 응집되는지 관찰한다.

응집을 보이면 Rh +, 응집을 보이지 않으면 Rh -으로 본다.

하지만 D 항원이 아주 약하게 표현되는 weak D형은 응집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응집을 보이지 않으면 약 D 검사를 실시한다.

반응형

'의학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맥관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PDA)  (0) 2024.02.18
신장기능검사(BUN, Cr, eGFR)  (0) 2024.02.14
임신중 갑상선 기능장애  (0) 2023.05.26
유산(Abortion)  (0) 2023.05.26
임신오조증(Hyperemesis Gravidarum)  (0) 2023.05.26